2008년 2월 11일 월요일

[경제지표] 생산자물가 (Producer Price Index)

* 작성 기관: Bureau of Labor Statistics

* 발표 시점: 매월 14일경

* 발표 시차 및 주기: 약 2주, 월간

* 주식 시장에의 영향: 최종재에 대한 생산자물가는 도매와 재화가격의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물가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생산자물가는 경제의 물가상승 압력을 가장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 정의 및 작성 방법: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판매가격의 평균 변화를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이 지수는 농업, 전기, 천연가스, 임업, 어업, 제조업, 그리고 광업을 포함한 미국의 거의 모든 산업에 대한 제품가격 변화를 조사한다. 생산자물가는 산업, 제품, 가공단계별로 나뉘어 발표한다. 산업별 데이터는 표준산업분류(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IC)에 따른 산업구조분류에 따라 분류되며, 같은 산업에 포함되는 제품의 가격은 함께 계산된다. 제품별 데이터는 최종 소비자의 유사성이나 재료 구성에 의해 분류된다. 이에 따르면 제품은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지는데, 첫 번째는 석탄, 원유, 곡류, 웜목, 철광석 등의 가공되지 않는 상태인 원재료 상태이다.

두 번째 그룹은 가공은 일단 되었으나 완제품이 되기 위해서는 추가의 가공이 필요한 중간재로서, 그 예로는 밀가루, 목재, 직물, 가죽 등이 있다. 마지막 그룹은 최종재로서, 물가상승압력 지표로 사용되기 때문에 관심 있게 봐야 한다. 최종재는 추가 가공을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될 제품으로 빵, 과자류, 의류, 휘발유, 서적 등이 있다.

* 지표의 주요 내용 및 해석: 최종재에 대한 가격변화는 도매물가 상승률의 지표이다.
중간재 및 원재료의 가격 변화는 향후 물가상승압력의 지표이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부분을 제외한 가격 변화는 추세적인 물가추이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원재료 가격의 변화는 경기선행지표의 성격을 가지는데 비용 측면의 요인이 많이 가세할 경우에는 선행지표의 성격을 가지지 못한다.

* 장점:
- 산업, 제품, 가공단계별 가격에 대한 정보를 속보성 있게 제공한다.
- 향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생산자물가가 오르면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도 오르기 때문이다.

* 단점:
- 수입품에 대한 정보는 제외되기 때문에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에 쓰이는 수입품의 가격 변화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 서비스 부분은 일부만이 반영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