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2월 10일 일요일

[경제지표] ISM제조업지수(ISM Index)

* 작성기관 :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 발표시점 : 익월 첫째날

* 발표 시차 및 주기 : 거의 없다. 월간

* 주식 시장에의 영향 : 주식시작은 ISM 제조업지수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향후 제조업 경기에 대한 선행적인 지표이며, 미연방준비은행의 경기판단에 가장 중요한 참고 지표이기도 하다. 월간 경제지표 중 주가 추이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지수이다.

* 정의 및 작성방법 :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는 매달 제조업과 관련된 20개의 산업을 대표하는 300명의 구매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종합지수인 ISM 제조업지수를 발표한다. 지수가 50을 넘을 경우에는 경기팽창을, 50미만일 경우에는 경기수축을 시사한다. 이 지수는 계절조정을 거치며, 신규주문, 생산, 공급자 배달시간, 주문잔고, 재고, 가격, 고용, 수출품 가격, 수입품 가격 등의 9개 부문의 지수를 포함하는 종합 지수이다. 20개의 개별 산업에 대한 정보와 14개의 주요원료의 가격변화에 대한 정보도 제공된다. 포함되는 항목들에 대한 종합적인 지표는 미국의 사업자 신뢰도에 대한 지수이며, 과거 NAPM가 이름이 변경된 지표이다.

* 지표의 주요 내용 및 해석 :종합지수의 전환점은 경제활동의 둔화 혹은 회복을 나타내며, 제조업자가 지불한 가격 변화를 통해 물가상승압력의 증가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신규 주문의 증가는 향후 제조업 활동의 예측지표이다.

* 장점 :
- 9개의 동향지표를 종합한 종합지표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구매 담당자를 상대로 설문이 이루어져 설문 응답의 집행 가능성 및 신뢰도가 높다.
- 데이터 발표시차가 짧아 빠른 경기 판단 지표로 활용된다.
- 20개 제조업의 국내총생산에의 기여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므로, 제조업 경기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경제활동의 선행지표이기 때문에 경기 순환의 전환점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쓰인다.
- 지수의 변화는 국내총생산 및 산업생산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미국 주요 주가지수에 대한 설명력도 높다.

* 단점 :
- 생산비용의 중요한 요소이자 물가상승압력에 영향을 주는 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 설문의 응답은 둔화, 개선, 동일의 3개 항목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지수자체로는 둔화 속도나 개선 속도를 알 수 없다.
- 생산을 늘리는 동시에 고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 변화나 생산의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 국내총생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는 하나, 전체 경제활동이 아닌 제조업 활동만의 국한된 정보를 제공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