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일본식 봉차트는 몸통의 색깔이 붉으면 매수세력의 힘을, 검정색이면 매도세력의 힘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최고가와 최저가가 형성하는 위꼬리 수염은 매도세력, 아래꼬리수염은 매수 세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중 세력의 판도를 읽기 매우 쉬운 장점이 있어 단기매매에 매우 유용한 차트기법 중 하나 임.
1) 반전패전과 매매전략
A. 유성형과 역전된 망치형
- 유성형과 매매전략
유성형은 사승추세에서 나타나는  형태로 몸통이 적고 위꼬리 수염이 길어 일중 매도세력이 강하게 성장한 모습으로 전매도는 물론이고, 특히 일중 최고점 바로 상단에  Stop-Loss 주문을 설정하고 과감한 매도전략을 실행하면 위험 대비 수익성이 높아져 효율적 매매 수행이 가능.  
- 역전된 망치형과 매매전략
하락장에 나타나며 일중 매수세력이 출현하여 반등시도가 있었던 패턴으로 반전형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결국 후반부에 재차 매도세력의 출현으로 하락장세로 마감한 패턴이다. 이는 반전신호의 신뢰도는 유성형보다 약해서 보수적인 매매전략의 수행이  필요한 형태로 본다. 즉 다음날 양선 출현이면 매수를 반대로 음선이 출현하면 추격 매도전략을 수행하는 패턴인 것이다.  
B. 햄머형과 교수형
- 햄머형과 매매전략
햄머형은 하락장에서 강한 매수세력이  신규로 출현한 모습으로 매수신호가 매우 강한 패턴으로 환매수는 물론 적극적 신규 매수전력의 수행이 가능하다. 단 일중 최저가 하단에 철저한  Stop-Loss의 설정을 반드시 동행해야 한다.  
- 교수형과 매매전략
교수형은 상승장에서 장중 한때 매도세력이 출현로 이는 하락반전을 시사하지만 상기 역전된 망치형과  비슷하게 매도 의뢰도가 매우 약한 패턴으로 다음날의 세력에 따라 매매형태를 정한다. 즉 다음날 양선이 출현하면 기존추세를 진행하는 형태로  매수를, 음선이 출현하면 매도전략을 수행한다.  
C. 십자형
- 십자형과 매매전략
십자형은 시초가와 종가가 같거나  비슷한 형태로 매수와 매도세력의 팽팽한 균형점을 의미한다. 이는 세력의 불균형은 불확실성의 증대로 이어지고 이는 위험의 증가를 가져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킴으로서 하락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승장에서 십자형은 전매도는 물론 신규 매도전략의 수행이 가능한 패턴이다. 한편 하락장에서는  십자형 출현이후에 다소 보수적인 견지에서 다음날 음선과 양선의 여부에 따라서 투자전력을 결정해야 한다.  
D. 상승 장악형과 하락 장악형
- 장악형과 매매전략
장악형은 전일 패턴의 반대모양이  완전히 장악한 모습인데 이는 전일 세력을 익일 반대세력이 완전히 시장을 주도하게 된 모양으로 반전 패턴임. 첫번째 몸통의 길이가 짧고, 두번재  몸통의 길이가 길며 몸통색이 서로 반대임. 대량 거래량을 수반하면 신호의 강도가 높다.  
E. 흑운형과 관통형
- 매매전략
: 패턴 형성일의 몸통 종가가 이전일 몸통의  중간(50%)이상 하향관통 또는 상향관통했을 떄 나타나며 패턴 형성일 몸통의 시가가 주요 저항선이나 지지선을 뚫었다가 종가에 실패한 모습이며  다량의 거래량을 수반하면 신호의 강도가 높아진다.  
F. 샛별형과 석별형
- 매매전략 
두번째 몸통을 기준으로 첫번쨰와 세번째  몸통이 갭으로 형성된 패턴으로 세번쨰 종가가 첫번쨰 몸통의 50%이상 관통한 패턴을 말한다. 특히 첫번쨰 몸통은 거래량이 적고 세번쨰 몸통에서  대량의 거래량을 수반하는 전형적인 추세반전 패턴이다.  
G. 패턴의 합성법
패턴의 합성은 분봉차트를 합해서 일봉차트를 만들고 일본 5개를 합하여 주봉차트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이런 기법을 알면 시장중 여러 개의 봉차트에서 뚜렷한 반전신호와 시장세력 판도를 읽기가 어려울 때 자주 사용하는 기법이다. 특히  대부분의 반전패턴을 합성해보면, 세력을 쉽게 읽을 수 있다.  

패턴의 합성법에 의하면 상기의 석별형은 상승장에서 매도세력이 나타난 유성형  모양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락반전을 시사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