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 기관: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 발표 시점: 익월초
* 발표 시차 및 주기: 거의 없다. 월간
* 주식 시장에의 영향: 서비스 산업 경기를 단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로 제조업지수와 함꼐 증시 영향력이크다. 이 지수는 서비스부문 물가상승압력의 좋은 예이다.
* 정의 및 작성 방법: ISM 서비스업지수는 370명의 구매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각 산업의 국내 총생산에의 기여도에 다라 가중치가 부여된다. 10개의 개별지수가 발표되는데,산업활동이 가장 중요한 지수이다. 나머지 9개의 지수는 신규주문, 공급자 배달, 고용, 재고, 가격, 주문잔고, 신규수출주문, 수입, 체감잔고 등이다. ISM 비제조업 지수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업종이 서비스업이기 때문에 이 지수는 ISM 서비스업 지수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건설, 광업, 운송 등의 다른 산업도 포함된다. 전체적으로 17개의 업종이 포함되며, 그 중에 4개가 서비스 업종이다.
* 지표의 주요 내용 및 해석: 지수가 50을 넘을 경우에는 경기확장국면을, 50 미만일 경우에는 경기수축국면을 나타낸다. 주의해서 볼 항목은 ISM 서비스업지수가 기준치를 넘고 있는지 와 항목들의 기여 분포가 고르게 형성되는지 이다. 이와 함께 전월 대비 지수의 증감여부도 경기흐름 판단에 유용하다. 신규주문은 향후 몇 개월 동안의 경제활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체감재고와 가격은 기업들이 직면한 환경평가에 도움을 준다.
* 장점: 
  - 데이터 발표 시차가 적다
  - 경제활동의 선행지표이다 (특히 신규주문)
  - 산업별 국내총생산에의 기여도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므로, 서비스업 경기 상태를 비교적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 계절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계절적 요인을 따로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 단점:    
  - 생산비용의 중요한 요소이자 물가상승압력에 영향을 주는 임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 국내총생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는 하나, 제조업 부문은 제외된다.
  - ISM 제조업지수의 PMI와 같이 가중 평균된 종합지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