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거래는 보통 가격이 쌀 때 사서 비쌀 때 파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격이 하락 할 때에는 거래가 잘 안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외환 거래는 주식 거래와 다른 양방향 거래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가격이 쌀 때 사고 비싸게 파는 방식은 주식거래와 같으나, 가격이 비쌀 때 하락을 예상하고 먼저 팔고 그리고 예상대로 가격이 떨어졌을 때 다시 사서 이익을 취할 수 있는 양방향 거래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FX 는 선물과는 다른 고정된 스프레드 방식의 매수, 매도 호가를 제시하는 거래 방법을 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주어진 호가를 이용하여 선물 시장과 동일한 방식으로 순서와 상관없이 매수와 매도를 행하면 되고, 손익 계산은 매도와 매수 가격의 차이에다 각 통화 1pip의 환산가치를 곱해주면 됩니다.
거래시간
FX 마켓은 기본적으로 24시간 쉬지 않고 거래가 되는 시장입니다. 외환 시장이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 각 대륙을 돌아다니면서 거래가 되기 때문입니다.
각 대륙별 주요 외환 거래시장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주의사항
월요일 오전 7:00 ~ 7:15 사이에 주문 거부가 발생할 수 있음. 또한 미체결 주문에 대한 시세의 변동 가격이 체결될 수 있는 가격까지 도달 하여도 체결이 발생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거래 시간은 표준시간 기준으로 월요일 오전 7시부터 시작 되었으나, FX 마진은 해외 은행들과의 거래이므로 해외 은행들의 거래 시작 시간에 따라 변동 됩니다. 이로 인하여 월요일 오전 7시부터 7시 15분 사이에 고객님의 주문이 접수 거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객님의 주문이 거부될때에는 해외 은행들의 거래가 아직 시작하지 않은것이므로 최대한 월요일 오전 7시 15분까지는 기다리셔야 합니다. 또한 이 시간대에 고객님의 미체결 주문에 대해서 체결이 일어나면 해외 은행들의 거래가 시작된 것입니다. 만약에 시세가 체결될수 있는 가격까지 갔지만 체결되지 않을 경우 이는 해외 은행이 아직 거래 시작을 하지 않은 것입니다. 다만, 7시 15분 이후에는 모든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집니다.
주문방법
* 시장가 주문(Market Order)
시장가 주문은 해당 통화를 현재의 시장가격에 가능한 한 가장 빠르게 매수 또는 매도하기 위한 주문 방식입니다. 기본 조건으로 거래 하고자 하는 가격을 시장에서 보고 거래를 체결 시키는 것 입니다. 하지만 시장가 주문이 본 가격 그대로 체결을 보장 하는 것은 아닙니다. 외환 시장의 빠른 움직임으로 주문이 체결 되기 전 가격이 바뀌어 다른 가격에 체결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경우는 외환거래 시장에 참가자가 너무 많아 시세가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지정가 주문(Entry Order)
지정가 주문은 거래자가 원하는 가격보다 높거나 낮은 가격에 해당 통화의 매수 또는 매도가 체결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한 주문입니다. 이 경우 지정가 주문은 시장가 주문보다 좀 더 거래자에게 유리한 가격에 체결이 가능합니다. 매수 지정가 주문은 지정한 가격 혹은 이보다 더 낮은 가격에서만 체결이 되며 매도 지정가 주문은 지정한 가격 또는 더 높은 가격에서만 체결이 됩니다. 이때 유의 할 점은 시장가 주문과는 달리 지정가 주문은 지정한 가격과 같거나 거래자에게 유리한 가격이 아니면 체결되지 않고 조건이 충족 될 때까지 시장에서 체결을 기다리고 있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GTC(good till cancelled) 주문은 트레이더가 주문을 취소하기 전까지 주문이 살아있는 것입니다. 주문의 모니터링은 거래자의 책임이며 주문은 어느 시간이든 딜러에 의해 취소되지 않습니다.
* 스탑 주문(Stop Order)
스탑은 손절매 또는 최소이익실현 목적을 위해 특별히 많이 쓰입니다. 스탑 주문으로 투자자는 자동적으로 주문이 체결되는 가격을 설정합니다. 스탑주문은 지정가와는 달리 현재 형성하고 있는 시장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가 아닌 매도가격을 설정하고 현재가격 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가격을 지정 하는 역지정 방식을 택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재 가격에서는 주문이 잠자고 있다가 스탑 주문가격에 시장가격이 도달하면 스탑을 건 가격이 매수 또는 매도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면서 주문이 체결됩니다. 예를 들어 USD/JPY 매도를 120엔에 했는데 가격이 빠르게 118선까지에 내려갔다고 가정해 보죠. 당초 전략 대로라면 USD/JPY이 115 수준까지 내려 갈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당장 포지션을 청산하기 꺼리는 상황입니다. 이때 현재가격 118엔 상황에서 이익을 실현하는 대신 118.50에 매수 스탑 주문을 내 놓아 최소 이익은 118.50수준에 설정을 하고 기대 이익 수준을 당초 목표인 115엔 수준까지 밀어 붙여 본다고 생각 해보죠. 만약 USD/JPY이 120까지 다시 상승할 경우 118.50에서 매수 스탑주문이 작동하면서 시장가 매수로 체결되어 당초 매도한 120엔 밑에서 청산, 결국 이익이 자동적으로 확정되는 스탑 주문이 체결이 됩니다. 스탑 주문의 위험성은 스탑가격 주위에서 점프하거나 너무 빨리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엔이 118엔에서 119엔으로 다시 하락하고 다시 115엔으로 상승한다고 합시다. 이럴 경우 포지션은 스탑 가격 118.50에 청산이 이루어 지게 됩니다. 또한 스탑가격은 설정한 가격에 체결된다고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즉, 스탑가격을 도달한 순간 스탑은 시장가 주문이 됩니다. 그 의미는 best price면에서 시장조성자의 마음대로 이루어 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빠르게 움직이는 시장 상황에서 best price는 원하는 가격에서 보다 더 좋은 가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스탑주문은 외환 트레이더에게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